감가상각비와 무형자산 상각비의 차이점
감가상각비와 무형자산 상각비는 모두 자산의 사용으로 인한 가치 감소를 비용으로 인식하는 과정에서 사용됩니다. 하지만 적용 대상, 계산 방식, 회계 처리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. 아래에서 두 개념의 주요 차이점과 공통점을 정리합니다. 1. 기본 정의 감가상각비 (Depreciation)정의: 유형자산(건물, 기계, 설비 등)의 사용으로 인한 가치 감소를 비용으로 배분한 금액.적용 대상: 물리적 형태가 있는 자산(유형자산).예시: 건물, 기계, 차량, 가구. 무형자산 상각비 (Amortization) 정의: 무형자산(특허권, 라이선스 등)의 사용으로 인한 가치 감소를 비용으로 배분한 금액.적용 대상: 물리적 형태가 없는 자산(무형자산).예시: 특허권, 소프트웨어, 상표권, 라이선스, 프랜차이즈 권리. 감..
2024. 12. 29.